2003년 전주국제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3년 전주국제영화제는 신진 감독들의 작품을 발굴하고, 다양한 영화들을 상영하며 영화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자 개최되었다. 국제경쟁, 한국경쟁, 단편경쟁 등 다양한 경쟁 부문과 우석상, JIFF 최고인기상, JJ-Star상 등의 시상 부문을 통해 작품성을 인정받은 영화들을 선정했다. 월드 시네마스케이프, 시네마페스트, 디지털스펙트럼 등 여러 상영 부문을 통해 다양한 국가와 장르의 영화들을 선보였으며, 디지털 영화 제작 워크숍, 아시아 독립영화 포럼, 마스터 클래스, 오마주 섹션 등 다채로운 부대 행사도 진행되었다.
(요약에 '독립, 실험, 대안 영화의 발굴과 육성에 기여하고 있다'는 내용이 있지만, 원본 소스에 해당 내용이 없고 하위 섹션에서 이미 다루고 있으므로 생략한다.)
2003년 전주국제영화제는 경쟁 부문 외에도 다양한 섹션을 통해 전 세계의 영화를 소개했다.
2. 수상 부문
2. 1. 경쟁 부문
국제경쟁, 한국경쟁, 단편경쟁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2. 2. 비경쟁 부문
(요약에 '다양한 비경쟁 부문을 통해 폭넓은 영화들을 소개한다.'는 내용이 있지만, 원본 소스에 해당 내용이 없고 하위 섹션에서 이미 다루고 있으므로 생략한다.)
2. 2. 1. 우석상
나세르 라파예의 입학시험이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작품에 수여되는 우석상을 수상했다.
2. 2. 2. JIFF 최고인기상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의 스파이더가 관객들의 투표로 선정되어 JIFF 최고인기상을 수상했다.
2. 2. 3. JJ-Star상
2003년 전주국제영화제에서 마크 오티커의 기묘한 동거가 JJ-Star상을 수상했다.
3. 상영 부문
3. 1. 월드 시네마스케이프
3. 2. 시네마페스트
시네마페스트는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영화를 폭넓게 소개하는 섹션이다.
3. 2. 1. 영화궁전
3. 2. 2. 불면의 밤
2003년 제4회 전주국제영화제 '불면의 밤' 섹션에서는 밤새도록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상영했다. 상영작은 다음과 같다.
감독 | 작품 |
---|---|
하니 스스무 | 그녀와 그 |
래리 페슨덴 | 노 텔링 |
아이작 줄리앙 | 베다스 시네마 |
미카엘 하네케 | 베니의 비디오 |
하니 스스무 | 불량소년 |
고든 파크스 | 샤프트 |
멜빈 반 피블스 | 스위트 스위트백스 배다스 송 |
미카엘 하네케 | 우연의 연대기에 관한 71개의 단편 |
래리 페슨덴 | 웬디고 |
미카엘 하네케 | 일곱 번째 대륙 |
하니 스스무 | 첫사랑-지옥편 |
잭 힐 | 코피 |
래리 페슨덴 | 해빗 |
3. 2. 3. 야외상영
3. 3. 디지털스펙트럼
3. 4. 한국영화: 충돌과 지속
고호빈 감독의 맹3. 5. 한국단편의 선택: 비평가주간
제목 | 감독 |
---|---|
과부아 상태에 빠지다 | 도내리 |
기억, 발꿈치를 들다 | 강경훈 |
길목 | 유상곤 |
레슨 | 신은영 |
미안합니다 | 박명랑 |
미친 김치 | 강지이 |
바다를 간직하며 | 원 |
빛 속의 휴식 | 채기 |
빨간 모자 | 이창석 |
생산적 활동 | 오점균 |
샴 하드 로맨스 | 김정구 |
애절한 운동 | 채기 |
엄마의 사랑은 끝이 없어라 | 김정구 |
여름 이야기 | 안주영 |
이효종씨 가족의 저녁식사 | 정희성 |
전기공들 | 정서경 |
체온 | 유상곤 |
초촌면 신암리 | 오점균 |
헤어맨 | 심용성 |
3. 6. 전주소니마주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 감독의 잔 다르크의 수난이 상영되었다.3. 7. 마스터 클래스
宁瀛, 寧瀛|닝잉중국어 감독은 1980년대 초 베이징 영화 학교에서 공부한 뒤 이탈리아로 유학을 떠나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의 마지막 황제(1987)에서 조감독으로 일하며 영화계에 입문하였다. 1990년대 초 중국으로 돌아와 즐거움을 위하여(1992), 아이 러브 베이징(1994), 민경고사(1995)를 감독하였는데, 이 세 편의 영화는 급격한 변화를 겪던 당시 중국 사회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려내어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로랑스 페레라 바르보자는 1980년대 중반부터 영화 작업을 시작했다. 1990년대에 보통사람들에겐 예외가 없다(1993), 쉿,조용히!(1996), 지긋지긋한 사랑(1996), 모던 라이프(2000) 등을 발표하여 사회 주변부 인물들의 모습을 현실적으로 그려내면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3. 8. 디지털 필름 워크숍
2003년 전주국제영화제에서는 신진 영화인들을 위한 디지털 영화 제작 워크숍이 진행되었다. 워크숍을 통해 제작된 작품은 다음과 같다.- 미끄럼을 타다 - 넥스트
- 옵스쿠라 칸타빌레 - 모놀로그
- 퀵 서비스 - 테이크 넘버 원
- 회색 그림자 - 인디 파이브
3. 9. 아시아 독립영화 포럼
아시아 독립영화 포럼은 아시아 지역의 독립 영화를 소개하고 교류하는 장으로, 다양한 아시아 영화의 현재를 살펴볼 수 있는 섹션이다.제목 | 감독 |
---|---|
가랑비의 노래 | 리엔 친화 |
나쁜 녀석들 | 후루마야 토모유키 |
주화창 | 박귀정 |
미안해 | 토가시 신 |
내 형제, 실크 로드 | 마랏 사룰루 |
오른쪽의 천사 | 잠쉐드 우스마노프 |
웰컴 투 데스티네이션 상하이 | 앤드류 정 |
이산 스페셜 | 소나쿤 밍몽콜 |
입학시험 | 나세르 라파예 |
잇카 | 카와이 아키라 |
지스탄 | 레자 소바니 |
치킨 포에츠 | 맹 징휘 |
카쿠토 | 이세야 유스케 |
플라스틱 트리 | 어일선 |
3. 10. 오마주
2003년 전주국제영화제 '오마주' 섹션에서는 브라질의 글라우버 로샤 감독과 덴마크의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 감독의 작품을 상영했다.감독 | 작품명 |
---|---|
글라우버 로샤 | 검은 신, 하얀 악마 |
글라우버 로샤 | 고뇌하는 땅 |
글라우버 로샤 | 지구의 나이 |
글라우버 로샤 | 바라벤토 |
글라우버 로샤 | 죽음의 안토니오 |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 | 뱀파이어 |
4. 역대 영화제
2003년 전주국제영화제는 4회차 영화제로, 별도의 문서로 상세 정보가 제공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